HOME
|
|
|
|
산악자전거는 일반적으로 아주 격렬한 충격들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가볍지만 아주 튼튼한 편이다.(무게는 19Kg에서 8Kg까지 아주 다양하다.
물론 가벼울수록 비싸다. 일반적으로 10~8Kg 정도의 자전거는 프로 선수용으로 보는데, 산악자전거의 가격 역시 250만원에서 대략 450만원
정도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산을 등반할 때 급격한 경사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기어의 단수(일반적으로 21단 이상)가 많으며,
핸들은 직선으로 돼 있는 것과 약간 V자형으로 생긴 라이져 바 등이 있다. 산악을 많이 다니는 특성상 흙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좀 두꺼운
타이어를 사용하고, 볼록한 돌기가 많이 달려있다.(이렇게 돌기가 많이 달린 타이어를 슬릭 타이어라 부른다) 그리고 산에서 충격에 의해 손이 튀어
핸들을 놓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충격에 의한 몸의 피로를 덜기 위해 충격흡수 장치(shock absorber)를 장착하기도 한다.(사실은
거의 기본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판매되는 산악형 자전거(15~20만원선의 자전거)의 쇽업소버는 원래 도로용으로 나온 것이므로 사실 험한 산을
타기엔 약간 부족한 편이다.
|
|
상의는 옷단이 조여져 있고 등쪽에 주머니가 달려있어 음식 등을 꺼내 먹을 수 있게 되어있다.
바지는 체인에 옷이 낄 우려가 있어 몸에 착 달라붙게 만들어졌으며 쿠션을 위해 패드가 접착되어 있다. 모두 빨리 마르고 땀 흡수가 잘되는 소재로
만들어졌다. 자전거웨어는 이런 옷을 기본으로 날이 쌀쌀하거나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옷을 겹쳐 입으면 된다. 방수복이나 자켓등을 입으면 된다
|
|
자전거는 항상 크고 작은 사고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자전거를탈 때는 반드는 헬멧을 써야한다.
헬멧을 선택할 때는 써보고자신에게 잘 맞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충격을 받아도 헬멧이 잘움직이지 않고 벗겨지지 않도록 해서 써야한다.
|
|
장갑은 손가락이 나오는 숏타입과 손가락까지 들어가는 롱타입이 있다. 날이 추울 때나 위험이 큰
곳에서 자전거를 탈 때 ,험한 산악자전거 코스 등에서는 롱타입을 사용한다.
|
|
다른 캐주얼화를 신을 수 있지만 전문 신발을 신으면 편하고 안전하다. 보통 신발은 페달을 밟다가
미끄러질 수 있지만 전문자전거용 신발은 미끄러지지 않아 안전하다. 다만 페달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초보자들은 페달에 고정시킴으로써 넘어질
때발을 빼지 못해 불안해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습관이 되면자전거를 탈 때 힘을 줄일 수 있어 훨씬 좋다.
|
|
이 외의 장비로는 물통, 선거라스,
가방, 휴대용 공구 등이 필요하다.
|
|
|
|
|
|